소셜 시큐리티란 뭘까? – 미국에서 제일 먼저 해야 할 일
소셜 시큐리티란 뭘까? – 미국에서 제일 먼저 해야 할 일 “요람에서 무덤까지.” 이 말, 어디서 많이 들어본 것 같지 않은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사회가 책임진다는 의미다. 영국의 처칠 수상이 복지국가의 이상을 강조하며 만든 말이라는데, 지금도 종종 쓰인다. 물론 미국은 유럽 복지국가처럼 무한정 퍼주는 나라는 아니다. 그렇다고 복지가 없는 건 또 아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틀로 자리 잡은 게 바로 **소셜 시큐리티(Social Security)**다. 한 10년 전쯤에 있었던 일이다. 이민 온 지 며칠 안 된 ‘이민인’ 씨 는 공항에서 마중 나온 친척의 손에 이끌려 여기저기 다니며 미국 생활을 하나하나 배워가고 있었다. 그런데 그 친척이 말하길, 제일 먼저 해야 할 게 소셜 시큐리티 신청이란다. ‘이민인’ 씨는 운전면허나 은행 계좌 개설 같은 게 더 급하지 않나 싶었는데, 그게 아니란다. “운전면허도 소셜카드 없으면 못 만들고, 은행 계좌도 마찬가지야.” 친척이 그렇게 말했다. 생전 처음 들어본 단어에 어리둥절한 '이민인' 씨는 ‘소셜 시큐리티’를 인터넷에 쳐보았다. ‘사회보장제도’라고 나온다. 그런데 도대체 왜 이걸 제일 먼저 신청하라는 건지, 쉽게 납득이 가지 않았다. 그런데 알고 보면 소셜 시큐리티는 단지 노후 연금 제도 그 이상이다. 신분증만큼이나 중요한 ‘번호’ 하나가 주어지는 제도 이기 때문이다. 운전면허든, 융자를 받든, 취직을 하든, 미국 사회에서 뭔가를 하려면 이 번호 없이는 아무것도 못 한다. **소셜 시큐리티는 사실상 미국 시민 생활의 ‘열쇠’**라는 말도 과언은 아니다. 이 제도의 시작은 1930년대 루스벨트 대통령 시절 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대공황의 충격 속에서 생겨났고, 지금도 공식 명칭은 **Old Age, Survivors, and Disability Insurance (OASDI)**다. 즉, 노령자, 유가족, 장애인을 위한 보험 이라는 ...